|
2020_보건의료 빅데이터 및 의료 플랫폼의 사회적 쟁점: 「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」시범사업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_최지혜_남태우_조민효
|
|
2020_지방정부간 협력의 발생과 활성화의 영향요인 - 영과잉 가산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- 김민정_주지예
|
|
2020_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진화 플랫폼 정부 모델과 전략 분석 ‘광화문 1번가’를 중심으로_이지형_박형준_남태우
|
|
2019_입법부의 법안가결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- 제19대 미방위, 국방위, 농림위를 중심으로 - _이지형_박형준
|
|
2019_근거이론을 통한 비영리조직 민·관협력의 한계요인 탐색: 다문화 지원 조직의 목표와 역할 격차를 중심으로_조민혁_김민정_박형준
|
|
2019_동물보호 정책변동 과정의 시민참여 정책 환류 기제 연구: 자원효과와 해석효과를 중심으로_주지예_박형준
|
|
2020_비선호시설의 수용성에 대한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 연구_조경훈_정경락
|
|
2020_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평가제도 수용성 및 환류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_유화선_박형준_주지예
|
|
2020_원자력발전 정책결정과정의 정책 내러티브 연구 - 신고리 5・6호기 공론화의 옹호연합체를 중심으로_주지예_박형준
|
|
2020_기혼 여성근로자의 삶의 질에 관한 비교 연구: 여가 및 직장생활 수준의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_이효주_오수연_박성민
|
|
2020_유치원 3법의 정책변동과정 연구_유정호_양윤주_최지혜_이승택_조민효
|
|
2020_공공조직 내 성별 승진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_김화연_이숙종
|
|
2020_강사법 정책결정과정 분석_양윤주_김민길_조민효
|
|
2020_행정형 분쟁해결기구의 분쟁해결절차에 관한 연구_장원경
|
|
2020_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이용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의 정책변동과정 분석_최지혜_유정호_조민효
|
|
2020_사회자본이 비제도적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: SNS 이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_강은주_이숙종
|
|
2019_초기 연결망의 연결강도 증가 요인에 관한 연구: ‘낯선대학’참여자 연결망 사례분석을 중심으로_장석류_조민혁_이숙종
|
|
2019_송·변전설비와 전자파 분쟁 : 국내 및 미국 판례 연구_장원경
|
|
2019_공직가치 제고를 위한 행동주의적 분석연구: 공공봉사동기의 통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_정연우_박성민
|
|
2019_공직 내 적극행정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: 조직 행태주의적 관점에서_강나율_박성민
|
|
2019_평가제도 수용성, 기관장 리더십, 조직학습이 평가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_민경률_박성민
|
|
2019_항만분권의 핵심의제는 무엇인가?: 프랑스 항만법전에 대한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_이유현_서인석_정수현
|
|
2019_공공개발사업의 갈등인과모형 구축 연구_시스템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하여_김보미_이유현
|
|
2019_The Core Agenda of Public Debate on the Cigéo Project in France_Youhyun Lee_Hee Ju Hwang
|
|
2019_객관적 원자력 지식수준이 원자력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_김근식
|
|
2019 청소년의 문화예술활동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_이영라_이숙종
|
|
2019 빈곤 노인의 노동시장 이행에 관한 연구_김민호_조민효
|
|
The Effects of Intergovernmental Fiscal Cooperation on Applying for Federal Grants in Florida 염지선_이준기
|
|
Institutional Analysis of Intergovernmental Policy: A Case of Medicaid Program 염지선_류나영
|
|
tax farming: the effects of contracting out delinquent tax collection on the tax collection performance of county governments in the U.S. 염지선_장성규
|
|
2019 기후변화 및 에너지 안보 인식의 긍정적/부정적 판단에 따른 원자력 에너지 수용성 영향 분석_김근식_이선우_심준섭
|
|
2019 협력적 난민지원 관리에 대한 시론적 연구_김화연_김민정_김민길_조민혁_정규진
|
|
2018_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규제정보 모호성과 규제수용성 관계 연구_김용희_주지예_최영해_박형준
|
|
2019_입법부의 법안가결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-제19대 미방위, 국방위, 농림위를 중심으로_이지형_박형준
|
|
2019 다각화 전략을 통한 환경갈등 지속기간의 영향요인 연구:자료의 질적인 양적화를 중심으로_이유현_서인석
|
|
2019 의료규제 정책의 딜레마에 관한 연구: 신약 및 신의료기기 전문가 조사를 중심으로 _이유현_정일영
|
|
2018 시민참여를 통한 절차적 에너지 정의의 모색:프랑스의 에너지정책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_이유현_서인석
|
|
2018 에너지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에너지복지 정책설계에 관한 연구_이유현
|
|
2019 공무원의 직업가치인식이 잡 크래프팅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_강나율, 김민영, 박성민
|
|
2019 어린이집 평가인증제 및 공공형 어린이집 정책 효과 분석_박미경 조민효
|
|
2018 Does Managing Performance Really Pay? Determinants and Outcomes of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Local Government_레지날드, 이혜림, 문상호, 박성민
|
|
2018 공공조직 특성이 조직구성원의 리더 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: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_김서린, 김민영, 문상호, 박성민
|
|
2018 대한민국 공무원의 동기유형과 조직시민행동, 삶의 질에 관한 연구: 자기결정성이론(Self-Determination Theory)을 중심으로_서은혜, 이효주, 박성민
|
|
2018 교육훈련이 개인 및 조직 차원의 전이효과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: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신임관리자 교육훈련 사례를 중심으로_김민영, 이효주, 유정모, 박성민
|
|
2017 입법부 공무원의 성과평가제도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: AMO이론과 사회자본이론 관점을 중심으로 _이효주, 최은영, 박성민
|
|
2017 조직 내·외부적 갈등요인이 삶의 질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: 책임운영기관 내 긍정심리자본 분석을 중심으로 _김화연, 박성민
|
|
2017 한국 NGO의 조직문화와 구성원들의 책임성에 관한 연구: 윤리적 리더십에 따른 영향력 비교_오현규, 박성민
|
|
2018_민・군 갈등관리와 협력적 로컬 거버넌스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: 공군의 민·관·군협의체 운영사례를 중심으로_김지수, 심준섭
|
|
2017_지역 금융 협동조합의 조합원 참여가 책임성을 매개로 신뢰에 미치는 효과 분석: 신용협동조합을 중심으로_박교순, 심준섭
|
|
2017_뇌심혈관질환에 대한 업무상 질병 판정에 관한 의사결정연구: 판단분석 기법의 활용_양정호, 심준섭
|
|
2018_비선호시설 입지갈등 해소를 위한 인센티브 제도의 정책효과 분석: 원전 지역 지원정책을 중심으로_김근식, 이선우
|
|
2018_공공갈등 관리체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_장원경, 김기형, 이선우
|
|
2018_원자력수용성에 대한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 분석: 긍정/부정 프레임의 영향을 중심으로_김근식, 이선우
|
|
2016_지각된 직장-가정 갈등이 조직 구성원 간의 갈등에 미치는 영향: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검증_김영곤, 이선우
|
|
2018_공공갈등관리를 위한 주민참여제도 개선방안 연구_장원경, 이선우, 김광구
|
|
2018_갈등해소를 위한 대화협의체 형성 동인에 관한 연구_김광구, 이선우, 심준섭
|
|
2016_전통시장 현대화 과정의 정책 네트워크 분석_조은영, 서혜빈, 김광구
|
|
2017_지방자치단체의 갈등대응방식에 관한 연구_이나현, 조은영, 김광구
|
|
2017_기초자치단체 갈등해소 전략_조은영, 김동영, 김광구
|
|
2018_입지 갈등 사례의 이슈생애주기 탐색 연구_김인수, 조은영
|
|
2018_문화예술교육 서비스전달체계에 관한 연구_조은영, 윤현경, 강지선, 김광구
|
|
2018_도시재생 시민참여과정 비교분석 연구_조은영, 강지선, 김광구
|
|
2018_도시재생 공론화 과정 연구: 서울로 7017사업을 중심으로_강지선, 조은영, 김광구
|
|
2018 고령층의 자산빈곤과 소득빈곤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_이영라_이숙종
|
|
2018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Creative Behavior of Employees in Korean Public Organizations_김화연_오현규_이숙종
|
|
2018 행복(공공)기숙사 도입이 대학가의 임대료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: 서울시 빅데이터 캠퍼스를 활용하여_김민길_유정호_조민효
|
|
2018 환경 및 토지규제에서의 공익과 사익의 충돌에 관한 연구_이유현_이숙종
|
|
2018 경제적·정치적 정부성과에 대한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의 탐색_신상준_김보미_이숙종
|
|
2018 민간 분야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질적 정책평가: 논리모형 도출 및 정책 대상자 중심 효과 분석_김민길, 김민호, 조민효
|
|
2018 설립유형별 지역아동센터 간의 협력에 관한 연구: 협력 네트워크 및 협력요인을 중심으로_유정호, 조민효, 이숙종
|
|
2018 주거복지정책의 주거비부담 및 주거만족도 효과성 분석_김민정, 조민효
|
|
2018 청년고용정책의 효과성 평가 연구: 중소기업 청년인턴제와 공공기관 청년인턴제를 중심으로_정주호, 조민효
|
|
2018 사회갈등이 시민의 주장형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: 정부신뢰와 사회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_이영라, 이숙종
|
|
2018 일-가정갈등이 사회참여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_김화연, 김민길, 조민효
|
|
2018 청년 1인 가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: 사회자본 효과를 중심으로_한성민,이숙종
|
|
2018 공공조직 집단문화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: 조직몰입을 통한 성과제고를 중심으로_오현규,김화연,이숙종
|
|
2018 사회적 갈등 인식이 직장 내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_신유정, 오현규, 이숙종
|
|
2017 한국의 남녀임금격차 추세 및 원인 분석: 여성의 경력단절로 인한 차별을 중심으로_김민길, 조민효
|
|
2017. 정부와 개발 NGO의 협력관계: 협력요인별 인식차이를 중심으로.이경선,이숙종
|
|
2017 Development Cooperation: Between the Global and Regional Institutions: The Case of the UN Development Cooperation Forum and the OECD 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. Adel Bouda & Sook Jong Lee
|
|
2017. 한국인과 일본인의 기관신뢰와 민주주의 인식.이숙종
|
|
2017. 동물보호 정책과정에서 정책혁신가와 정책중개자 탐색적 연구: 의원입법 공동발의 연결망 중심성과 중개자분석을 중심으로. 주지예, 박형준
|
|
2016. 통상교섭 조직의 국가간 비교사례연구: 퍼지셋 이념형 분석방법의 적용. 정병화, 박형준
|
|
2017. 정부조직개편과정에 따른 동태적 조직변동의 탐색적 연구: 행정자치부 하부조직의 기능 및 구조변동 과정을 중심으로. 임주영, 박형준
|
|
2016. 병역 대체복무제도의 변동과정고찱과 변화 요인분석. 김신숙, 박형준
|
|
2017. 다중흐름모형의 확장을 통한 정책 집행방식 연구: 정치흐름과 문제 적합성을 중심으로. 주지예, 박형준, 신현영
|
|
2017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. 김화연, 오현규, 이숙종
|
|
2016. 청년취업 결정요인에서 본 청년 취업대책 개선책 연구. 한성민, 문상호, 이숙종
|
|
2017. 테러방지법 정책변동의 다각적 고찰. 김민정, 조민효
|
|
2017. 한국적 맥락에서 옹호연합모형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- 외국인 고용허가제 도입과정을 중심으로 -, 유정호, 김민길, 조민효
|
|
2017. 한국 공무원 교육훈련의 통시적 분석: 신임관리자과정을 중심으로. 유정호, 정기덕, 김민정, 조민효
|
|
2017. 김영란법 정책결정과정 분석: 다중흐름모형과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중심으로 . 정기덕, 정주호, 김민정, 조민효
|
|
2017. ACMS 모형을 활용한 정책변동과정 분석: 4차 공무원연금개혁을 중심으로. 정주호, 유정호, 조민효
|
|
2017 정책네트워크와 공공갈등 - 수도권매립지에 관한 정책형성과정을 중심으로. 신상준
|
|
2017 공공갈등에서 시민참여의 변화: 수도권매립지 사례에 대한 근거이론의 적용. 신상준, 이숙종
|
|
2017 개인의 생활환경과 사회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- 인천광역시 시민을 대상으로. 신상준
|
|
2016 대졸 미취업자의 노동시장 이행유형 분석: 집단중심추세분석을 중심으로. 김진주, 조민효
|
|
2016 결혼이주여성들의 출신 국적별 임금차별에 관한 연구: 옥사카(Oaxaca) 분해방법론을 중심으로. 김민길, 김영직, 조민효
|
|
2016. 재학 중 일자리 경험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: 임금과 직무불일치 해소 효과를 중심으로. 정기덕, 조민효
|
|
2016 셧다운제의 효과성 평가. 박미경, 김민길, 정주호, 조민효
|
|
2016 공공영역에서의 공유경제 정책집행에 관한 연구: 서울시 '한지붕 세대공감' 사업을 중심으로. 유정호, 김민길, 김영직, 조민효
|
|
2016 중등직업교육 정책 대상자의 노동시장 이행유형 분석. 박미경, 김진주, 정기덕, 조민효
|
|
2016 한국과 일본의 무상보육정책 비교: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통하여. 김민길, 박미경, 조민효
|
|
2016 한국 청년세대의 신뢰∙갈등과 복지의식 유형에 관한 연구: 잠재집단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. 유정호, 조민효
|
|
2016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한국인의 복지태도 유형 연구. 박미경, 조민효
|
|
2015 대학생의 봉사활동과 민주시민의식에 관한 연구: 대학유형과 사회봉사 지원역량을 중심으로. 유정호, 조민효
|
|
2015 4년제 대졸 청년들의 직업가치 선호 유형별 진로경향 및 근로여건 분석: 잠재적 집단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. 김영직, 조민효
|
|
2015 한국과 일본 복지국가 형성기에 관한 비교 연구: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역사적 조건이 복지제도 특성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 김영직, 조민효
|
|
2015 청소년 학교폭력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: 교장의 리더십과 교사의 수업방식을 중심으로 이해준, 박미경, 조민효
|
|
2015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구: 서울시 금천구와 서초구를 중심으로 김진주, 함주빈, 조민효
|
|
2015 대학생 경제적 자립경향이 미취업 기간과 초기 임금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윤주영, 조민효
|
|
2014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적응유형과 사회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혜림, 조민효
|
|
2014 보육정책의 효과성 평가연구 박미경, 조민효
|
|
2014 근로장려세제의 노동공급 효과분석: 가구특성과 성별에 따른 분석 유민이, 임다희, 조민효
|
|
2016 사회교환이론을 통한 공공기관 상사신뢰의 영향력 탐색: 개인-조직 적합성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_김화연, 오현규, 이숙종, 박성민
|
|
2016 여성 관리자 경력개발활동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지원 행태 연구: 일-가정 양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_오현규, 신유정, 김화연, 박성민
|
|
2016 AMO에 기반한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_김민영, 이효주, 박성민
|
|
2016 여성 근로자의 일-가정 갈등과 조직 효과성에 관한 연구: 남편의 물리적・행태적・인지적 지원 요소들을 중심으로_오현규, 김화연, 박성민
|
|
2016 한국 여성 근로자의 성차별 인식에 관한 연구_오현규, 김화연, 박성민
|
|
2016 지방정부 공무원의 갈등관리 요인 분석: 중∙고위직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_류도암, 이선우, 강문희, 박성민
|
|
2015 여성 근로자 경력목표설정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_김화연, 오현규, 박성민
|
|
2015 조직 내 인사제도가 노동조합가입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: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의 노조수단성 비교를 중심으로_김민영, 이대근, 박성민
|
|
2015 개인의 내재적 유교적 가치가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: 한국 공공기관 내 윤리적 가치 역할 분석을 중심으로_오현규, 박성민
|
|
2015 공직봉사동기와 기업가 정신에 관한 실증 연구: 공공부문의 개인-조직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_김민영, 오현규, 김화연, 박성민
|
|
2015 공·사 조직 구성원들의 개인-직무 적합성과 조직몰입에 대한 소고(小考): 직무 및 생활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_오현규, 박성민
|
|
2015 Job Satisfaction among Public and Private Employees: Exploring the Effects of Person-job Fit and Work-life Balance Policies_오현규, 박성민
|
|
2015 공공 및 민간 조직의 가족친화제도가 여성 근로자들의 일-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: 남편의 도구적 지지와 가족의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_김화연, 오현규, 박성민
|
|
2015 다양성관리가 구성원들의 관계갈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_오화선, 민경률, 박성민
|
|
2015 한국 NGO의 조직문화의 유형과 개인-조직 적합성, 조직 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_김민영, 민경률, 박성민
|
|
2014 시민의 삶의 질 선행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: 일반가구와 저소득층 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_김선아, 박성민
|
|
2014 일과 삶의 균형 정책이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: 공공 및 민간 조직 내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_오현규, 박성민
|
|
2014 조직 내 사회자본이 조직 및 사회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: 공공동기(Public Service Motivation)의 조절 및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_김민영, 박성민
|
|
2014 한국 공공기관 내 대인신뢰와 조직신뢰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: 조직 내 책임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_오현규, 문상호, 박성민
|
|
2014 공직봉사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: 개인-조직 적합성 및 개인-직무 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_오화선, 박성민
|
|
2013 유연근무제가 조직결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: 공공조직 내 개혁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_민경률, 박성민
|
|
2016 시민활동가의 정치참여에 대한 유권자인식 영향요인 분석_한성민, 이숙종
|